줄리어스 시저 (희곡)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줄리어스 시저》는 셰익스피어의 희곡으로,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을 바탕으로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적 혼란을 배경으로 한다. 언어의 힘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며, 브루투스와 안토니우스의 연설을 통해 군중의 심리가 변화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셰익스피어는 극적 효과를 위해 역사적 사실을 일부 변경했으며, 엘리자베스 시대 잉글랜드의 불안감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 작품은 율리우스 카이사르, 브루투스, 안토니우스 등 다양한 등장인물들을 통해 카이사르 암살과 그 이후의 정치적 갈등을 그린다. 비평가들은 카이사르와 브루투스 중 누가 진정한 주인공인지에 대한 논쟁을 벌이며, 공화주의와 군주제에 대한 철학적, 심리학적 이데올로기를 분석한다. 《줄리어스 시저》는 여러 차례 각색되어 영화, 연극 등으로 제작되었으며, 현대 사회의 정치적 상황을 반영하는 작품으로도 재해석되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줄리어스 시저 (희곡) - 브루투스, 너마저?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암살당할 때 남겼다고 전해지는 "브루투스, 너마저?"는 가까운 사람의 배신을 의미하는 격언으로, 역사적 진위 논쟁과 셰익스피어 희곡을 통해 널리 알려져 배신을 상징하는 표현이 되었다. - 줄리어스 시저 (희곡) - 나와 오손 웰스
로버트 카플로우의 소설을 원작으로 1937년 오손 웰스의 극단에 들어가게 된 고등학생 리처드 새뮤얼스의 이야기를 그린 2008년 영화 《나와 오손 웰스》는 리처드 링클레이터가 감독하고 잭 에프론, 크리스찬 맥케이, 클레어 데인즈 등이 출연했으며, 오손 웰스 역을 맡은 크리스찬 맥케이의 연기가 호평을 받았다. -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소재로 한 작품 - 줄리오 체사레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이 작곡하고 니콜라 프랑체스코 하임이 대본을 쓴 3막 오페라 세리아 《줄리오 체사레》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와 클레오파트라의 이야기를 다루며 헨델 생전에 큰 성공을 거두었고, 헨델 르네상스 이후 현대적인 감각으로 재해석되어 꾸준히 공연되는 바로크 오페라 대표작이다. - 1599년 희곡 - 헨리 5세 (희곡)
《헨리 5세》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희곡으로, 헨리 5세의 프랑스 침공, 아쟁쿠르 전투, 프랑스 공주와의 결혼을 통해 잉글랜드와 프랑스 간의 화해를 다루며, 헨리 5세의 리더십과 전쟁의 양면성을 보여주는 작품이다. - 1599년 희곡 - 헛소동
《헛소동》은 16세기 말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이탈리아 메시나를 배경으로 두 쌍의 연인의 사랑과 오해, 소동을 유쾌하게 그린 희극으로, 돈 존의 음모와 도그베리의 활약 속에서 사랑, 속임수, 명예 등 다양한 주제를 탐구하며 현재까지도 다양한 형태로 각색되고 있다.
줄리어스 시저 (희곡) | |
---|---|
기본 정보 | |
![]() | |
원제 | The Tragedy of Julius Caesar |
장르 | 비극 |
창작 시기 | 1599년경 |
발표 시기 | 1623년 (초판) |
등장인물 | |
주요 인물 | 율리우스 카이사르 마르쿠스 브루투스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포르키아 카토니스 |
조연 | 카스카 칼푸르니아 키케로 점쟁이 루키우스 옥타비우스 레피두스 |
배경 | |
시간적 배경 | 기원전 44년 |
공간적 배경 | 고대 로마 |
언어 | |
사용 언어 | 영어 |
기타 | |
영화화 | 줄리어스 시저 (1953) 줄리어스 시저 (1970) |
2. 배경
셰익스피어의 희곡 《줄리어스 시저》는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을 바탕으로, 기원전 1세기 로마 공화정 말기의 혼란스러운 정치 상황을 배경으로 한다. 셰익스피어는 플루타르코스의 기록보다 카이사르를 더 부정적으로 묘사하여, 그의 육체적 약점과 미신에 대한 의존성을 부각한다. 작품은 카이사르 암살 사건을 중심으로 전개되지만, 카이사르 사후에도 그의 영향력이 지속되며, 등장인물들의 삶과 로마의 운명을 좌우한다.
희곡에서 셰익스피어는 역사적 사실에서 벗어나 극의 시간을 단축하고 사실을 압축하여 극을 더 쉽게 무대에 올릴 수 있도록 했다. 비극적인 힘은 효과를 높이기 위해 몇몇 장면에 압축되었다. 예를 들어 카이사르가 죽는 장소를 ''쿠리아 폼페이아''(폼페이우스의 큐리아)가 아닌 카피톨 언덕으로 설정했다.
- 카이사르 암살, 장례식, 안토니우스의 연설, 유언장 낭독, 옥타비아누스의 도착이 모두 극 중에서 같은 날 일어난다. 그러나 역사적으로 암살은 3월 15일(3월의 이데스)에 일어났고, 유언장은 3월 18일에 공개되었으며, 장례식은 3월 20일에 치러졌고, 옥타비아누스는 5월에 도착했다.
- 삼두정치는 보노니아 근처가 아닌 로마에서 열리는 것으로 묘사된다.
- 필리피 전투 두 번을 하나로 합쳤다.(원래는 20일 간격)
1599년 9월 31일, 토마스 플래터라는 스위스인이 런던의 뱅크사이드 극장에서 《줄리어스 시저》를 관람했다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셰익스피어의 작품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
3. 등장인물
희곡 《줄리어스 시저》의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다.
진영 | 인물 | 설명 |
---|---|---|
카이사르 진영 | 율리우스 카이사르 | 로마의 종신 독재관 |
카이사르 진영 | 칼푸르니아 | 카이사르의 아내 |
카이사르 진영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 카이사르의 충성스러운 부하, 사후 삼두정치 구성 |
카이사르 진영 | 옥타비아누스 카이사르 | 카이사르의 양아들이자 후계자, 사후 삼두정치 구성 |
카이사르 진영 | 레피두스 | 카이사르 사후 삼두정치 구성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브루투스 |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카시우스 |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카스카 |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데키무스 브루투스 |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키나 |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메텔루스 킴버 |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트레보니우스 | |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 리가리우스 | |
기타 인물 | 키케로 | 원로원 의원 |
기타 인물 | 포르키아 | 카토의 딸이자 브루투스의 아내 |
기타 인물 | 점쟁이 | 미래를 예견하는 인물 |
기타 인물 | 아르테미도로스 | 크니도스 출신의 소피스트 |
기타 인물 | 키나 | 시인 |
기타 인물 | 구두 수선공 | |
기타 인물 | 목수 | |
기타 인물 | 시인 | 마르쿠스 파보니우스를 모델로 추정 |
기타 인물 | 루키우스 | 브루투스의 시종 |
기타 인물 | 카이사르, 안토니우스, 옥타비아누스의 하인 | |
기타 인물 | 전령 | |
기타 인물 | 기타 군인, 원로원 의원, 평민, 시종 |
3. 1. 율리우스 카이사르 진영
- 율리우스 카이사르: 로마의 종신 독재관이다.[6]
- 칼푸르니아: 카이사르의 아내이다.[6]
-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카이사르의 충성스러운 부하이다.[6] 카이사르 사후 옥타비아누스 카이사르, 레피두스와 함께 삼두정치를 구성한다.[6]
- 옥타비아누스 카이사르: 카이사르의 양아들이자 후계자이다.[6] 카이사르 사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레피두스와 함께 삼두정치를 구성한다.[6]
- 레피두스: 카이사르 사후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옥타비아누스 카이사르와 함께 삼두정치를 구성한다.[6]
3. 2. 카이사르 암살 공모자
3. 3. 기타 인물
4. 줄거리
호민관 플라비우스와 마룰루스가 폼페이우스의 아들들을 물리치고 개선하는 율리우스 카이사르를 축하하는 로마 시민들을 질책하는 장면으로 희곡이 시작된다. 루페르칼리아 축제에서 점쟁이가 카이사르에게 "3월의 이데스를 조심하라"고 경고하지만, 카이사르는 이를 무시한다.[1] 가이우스 카시우스 롱기누스는 마르쿠스 유니우스 브루투스에게 카이사르를 제거할 공모자에 가담하도록 설득한다. 마르쿠스 안토니우스가 카이사르에게 왕관을 세 번 제안하지만, 카이사르는 거절한다. 3월 15일 전날 밤, 공모자들은 브루투스를 끌어들이기 위해 로마 시민들의 지지 편지를 위조한다. 브루투스는 고뇌 끝에 카이사르가 왕이 되는 것을 막기 위해 암살에 가담하기로 결심한다.
카이사르는 점쟁이의 경고와 아내 칼푸르니아 (카이사르의 아내)의 불길한 꿈에도 불구하고 원로원으로 향한다. 공모자들은 메텔루스 심버의 추방된 형제에 대한 청원을 구실로 카이사르를 암살한다. 카이사르는 마지막으로 "브루투스, 너마저?"라는 유명한 말을 남기고 죽는다.[1]
브루투스는 연설을 통해 암살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군중은 잠시 그의 편을 든다. 그러나 안토니우스는 "친구, 로마인, 동포들이여, 내 말에 귀 기울이시오!"로 시작하는 감동적인 연설[2]로 여론을 반전시킨다. 안토니우스는 카이사르의 유언을 공개하며 군중을 선동하고, 공모자들은 로마에서 쫓겨난다. 시인 헬비우스 키나가 공모자와 동명이인이라는 이유로 군중에게 살해당하는 사건이 발생한다.
브루투스는 카시우스가 뇌물을 받은 혐의로 국왕 살해의 고귀한 행위를 더럽혔다고 비난하고 내분이 일어난다.[3] 브루투스와 카시우스는 화해하고, 마르쿠스 안토니우스, 옥타비아누스, 레피두스의 삼두정치에 맞서 해방자 내전을 준비한다. 카이사르의 유령이 브루투스에게 나타나 필리피 전투에서의 패배를 예고한다.[4]
필리피 전투에서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는 패배하고 자살한다. 안토니우스는 브루투스를 "가장 고귀한 로마인"이라고 칭송하며, 그의 명예로운 동기를 인정한다.[5]
5. 역사적 사실과의 차이점
셰익스피어는 극적 효과를 위해 역사적 사실을 몇 가지 변경했다. 카이사르의 개선 행진은 루페르칼리아 축제일(2월 15일)이 아닌, 폼페이우스의 아들들을 문다 전투에서 이긴 후 6개월 전에 열렸다. 암살, 장례식, 안토니우스의 연설, 유언장 공개, 옥타비아누스의 도착은 모두 같은 날 일어나는 것으로 묘사되지만, 실제로는 시간 간격이 있었다. 카이사르의 마지막 말 "브루투스, 너마저?"[1]는 셰익스피어의 창작으로, 플루타르코스와 수에토니우스는 카이사르가 아무 말도 하지 않았다고 기록했다.
6. 분석 및 비평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 Julius Caesarla는 로마 역사의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셰익스피어는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을 참고했지만, 작품 속 카이사르는 미신을 믿고, 전쟁터에서 발작을 일으키며, 타이버 강 물에 휩쓸리는 등 원전보다 부정적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도 카이사르는 죽음 이후에도 모든 등장인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거대한 힘으로 남아있다.
이 작품의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권력과 군중의 관계''': 권력의 향배가 변덕스럽고 비이성적인 군중에 의해 좌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언어의 힘''': 브루투스의 이성적인 연설과 안토니우스의 감성적인 연설을 대조하여, 언어가 여론을 조작하고 군중을 선동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안토니우스는 "친구, 로마인, 동포들이여, 내 말에 귀 기울이시오!"[2]라는 연설에서 카이사르의 업적과 유언을 언급하며 군중의 감정을 움직여 암살자들을 로마에서 몰아낸다.
- '''개인의 도덕성과 정치적 행위''': 브루투스는 공화정을 지키기 위해 카이사르를 암살하지만, 그의 행동은 결국 더 큰 혼란과 비극을 초래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고결한 동기가 반드시 긍정적인 결과를 보장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주제들은 3월 15일[1] 카이사르 암살 사건과 그 이후 벌어지는 권력 투쟁을 통해 극적으로 드러난다.
작품 속 브루투스는 고결하고 이성적이며 모든 로마인들의 존경을 받는 인물로 그려지지만, 그의 열정은 그를 잘못된 판단으로 이끌고, 결국 "카이사르, 이제 조용히 하라:/ 나는 너를 그렇게 좋은 마음으로 죽이지 않았다"[17]라고 후회한다.
6. 1. 주인공 논쟁
줄리어스 시저에서 브루투스와 카이사르 중 누가 주인공인지에 대해 비평가들은 다양한 의견을 제시한다.[16] 로버트 C. 레이놀즈는 카이사르와 브루투스에게 붙여진 별명에 주목하며, 카이사르의 "거상(Colossus)"이라는 별명이 권력과 남성다움을 암시하는 동시에 내면의 혼돈을 내포한다고 지적한다.[16]마이론 테일러는 카이사르가 직관적인 철학자인 반면, 브루투스는 열정 때문에 잘못된 판단을 내린다고 비교한다.[17] 조셉 W. 하우퍼트는 브루투스가 극의 중심 갈등을 이끌고, 공화국을 위해 카이사르를 살해하지만 정치적 실수를 저지르는 비극적 영웅이라고 주장한다.[18]
전통적인 해석에서는 카시우스와 다른 공모자들이 질투와 야망에 의해 움직이는 반면, 브루투스는 명예와 애국심을 따른다고 본다. 개리 윌스는 등장인물들이 서로 균형을 이루며 회전하는 칼더 모빌과 같아서, 이 희곡에는 악당이 없다고 주장한다.[19][20]
6. 2. 주제
Julius Caesarla는 윌리엄 셰익스피어가 쓴 희곡으로, 로마 역사의 실제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 셰익스피어는 플루타르코스의 《영웅전》을 참고했지만, 작품 속 카이사르는 미신을 믿고, 전쟁터에서 발작을 일으키며, 타이버 강 물에 휩쓸리는 등 원전보다 부정적으로 묘사된다. 그러나 이 작품에서도 카이사르는 죽음 이후에도 모든 등장인물에게 영향을 미치는 거대한 힘으로 남아있다.이 작품에서 주목해야 할 주요 주제는 다음과 같다:
- '''권력과 군중의 관계''': 권력의 향배가 변덕스럽고 비이성적인 군중에 의해 좌우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 '''언어의 힘''': 브루투스의 이성적인 연설과 안토니우스의 감성적인 연설을 대조하여, 언어가 여론을 조작하고 군중을 선동하는 강력한 도구가 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안토니우스는 "친구, 로마인, 동포들이여, 내 말에 귀 기울이시오!"[2]라는 연설에서 카이사르의 업적과 유언을 언급하며 군중의 감정을 움직여 암살자들을 로마에서 몰아낸다.
- '''개인의 도덕성과 정치적 행위''': 브루투스는 공화정을 지키기 위해 카이사르를 암살하지만, 그의 행동은 결국 더 큰 혼란과 비극을 초래한다. 이를 통해 개인의 고결한 동기가 반드시 긍정적인 결과를 보장하지 않음을 보여준다.
이러한 주제들은 3월 15일[1] 카이사르 암살 사건과 그 이후 벌어지는 권력 투쟁을 통해 극적으로 드러난다.
작품 속 브루투스는 고결하고 이성적이며 모든 로마인들의 존경을 받는 인물로 그려지지만, 그의 열정은 그를 잘못된 판단으로 이끌고, 결국 그는 "카이사르, 이제 조용히 하라:/ 나는 너를 그렇게 좋은 마음으로 죽이지 않았다"[17]라고 후회한다.
7. 각색 및 영향
《줄리어스 시저》는 셰익스피어의 희곡 중 가장 많이 각색되고 공연된 작품 중 하나이다.
연도 | 내용 |
---|---|
1864년 |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 암살범인 존 윌크스 부스를 포함한 부스 가문의 세 형제(주니어, 에드윈, 존 윌크스)가 뉴욕 윈터 가든 극장에서 열린 《줄리어스 시저》 자선 공연에 함께 출연했다. 주니어는 카시우스, 에드윈은 브루투스, 존 윌크스는 마크 안토니 역을 맡았다. 이 공연은 센트럴 파크에 셰익스피어 동상 건립 기금을 마련하기 위한 것이었다.[21] |
1916년 | 할리우드 비치우드 캐년에서 4만 명의 관객이 모인 가운데 《줄리어스 시저》 공연이 열렸다. 타이론 파워 시니어와 더글라스 페어뱅스 시니어가 출연했으며, 할리우드 고등학교와 페어팩스 고등학교 학생들이 전투 장면에 참여했다. 이 공연은 셰익스피어 사망 300주년을 기념한 것이었다.[24] |
1926년 | 할리우드 보울에서 미국 배우 기금 마련을 위한 자선 공연으로 《줄리어스 시저》가 상연되었다. 카이사르는 네 마리의 흰 말이 끄는 전차를 타고 등장했으며, 무대는 도시 블록 크기에 달했다. 300명의 검투사와 3,000명의 군인이 동원되었다. |
1937년 | 오손 웰스는 머큐리 극장에서 《줄리어스 시저》를 현대적으로 각색한 카이사르를 연출하여 큰 반향을 일으켰다. 웰스는 카이사르를 베니토 무솔리니와 같은 파시스트 독재자로 묘사하여 파시스트 이탈리아와 나치 독일에 대한 비판을 담아냈다.[25] |
1950년 | 존 길구드는 셰익스피어 기념 극장에서 카시우스 역을 맡았다. 이 공연은 조셉 L. 멩키비츠 감독의 1953년 영화에서 길구드가 같은 역을 맡는 계기가 되었다. |
1977년 | 길구드는 로열 국립 극장에서 카이사르 역을 맡아 셰익스피어 배역으로 마지막 무대에 섰다. |
1994년, 1998년 | 인도에서 《줄리어스 시저》가 힌두어로 번역되어 공연되었다. |
2005년 | 덴젤 워싱턴은 브로드웨이에서 브루투스 역을 맡았다.[31] |
2012년 | 로열 셰익스피어 컴퍼니는 모든 배역을 흑인 배우로 구성한 《줄리어스 시저》를 공연했다.[46] 같은 해, 해리엇 월터가 브루투스 역을 맡은 여성 배우들만의 프로덕션도 상연되었다. |
2018년 | 브리지 극장은 벤 위쇼 주연의 《줄리어스 시저》를 개관작 중 하나로 상연했다. |
현대 각색에서는 종종 정치적 언급이 이루어졌다.[46] 카이사르는 휴이 롱, 마거릿 대처, 토니 블레어,[47] 피델 카스트로, 올리버 노스[48][49] 등 다양한 정치 지도자를 닮은 모습으로 묘사되었다. 2012년 거스리 극장 공연에서는 카이사르가 버락 오바마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흑인 배우로 묘사되었다.[46]
2017년, 뉴욕 더 퍼블릭 극장의 셰익스피어 인 더 파크는 카이사르를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을 연상시키는 모습으로 묘사하여 논란이 되었다.[46][50][51][52] 델타 항공과 뱅크 오브 아메리카는 후원을 철회했다.[46] 더 퍼블릭 극장은 "비민주적인 수단으로 민주주의를 지키려는 사람들은 끔찍한 대가를 치른다"는 메시지를 전달하고자 했다고 밝혔다.[47]
《줄리어스 시저》는 1953년과 1970년에 영화로 제작되었다. 1953년 영화에는 말론 브란도가 안토니우스 역으로, 1970년 영화에는 찰턴 헤스턴이 같은 역으로 출연했다.
8. 한국어 번역
츠보우치 쇼요 번역본은 1913년 와세다 대학 출판부에서 출간되었고,[1] 이후 후잔보 등에서 재출간되었다.[1] 후쿠다 츠네아리 번역본은 1960년 신초샤에서 출간되었고, 이후 신초 문고로도 나왔다.[6] 오다지마 유시 번역본은 1975년 하쿠스이샤에서 출간되었으며, 나중에 하쿠스이 U 북스로도 출간되었다.[7] 마츠오카 카즈코 번역본은 2014년 7월 치쿠마 문고에서 출간되었다.[11]
참조
[1]
웹사이트
Julius Caesar, Act 3, Scene 1, Line 77
http://shakespeare-n[...]
[2]
웹사이트
Julius Caesar, Act 3, Scene 2, Line 73
http://www.shakespea[...]
[3]
웹사이트
Julius Caesar, Act 4, Scene 3, Lines 19–21
http://shakespeare-n[...]
[4]
웹사이트
Julius Caesar, Act 4, Scene 3, Line 283
http://shakespeare-n[...]
[5]
웹사이트
Julius Caesar, Act 5, Scene 5, Line 68
http://shakespeare-n[...]
[6]
서적
Julius Caesar
Cambridge University Press
[7]
서적
Julius Caesar
https://books.google[...]
Oxford University Press
[8]
웹사이트
Pages from Plutarch, Shakespeare's Source for Julius Caesar
http://www.shakespea[...]
[9]
웹사이트
Caesar
https://penelope.uch[...]
[10]
웹사이트
Julius
https://penelope.uch[...]
[11]
서적
The Twelve Caesars
Penguin Classic
[12]
문서
Wells and Dobson
[13]
문서
Spevack, Dorsch, Boyce, Wells, Dobson
[14]
문서
Wells and Dobson
[15]
서적
Julius Caesar in western culture
Blackwell
[16]
문서
Reynolds
[17]
문서
Taylor
[18]
문서
Houppert
[19]
서적
Rome and Rhetoric: Shakespeare's Julius Caesar
Yale University Press
[20]
서적
Op. cit.
[21]
서적
The Riverside Shakespeare
Houghton Mifflin Co
[22]
문서
Elizabethan Stage
[23]
문서
Halliday
[24]
잡지
Julius Caesar: An Appreciation of the Hollywood Production
http://www.hungrytig[...]
2024-03-15
[25]
잡지
Theatre: New Plays in Manhattan: Nov. 22, 1937
http://www.time.com/[...]
2010-03-13
[26]
서적
Run-Through: A Memoir
https://archive.org/[...]
Simon & Schuster
[27]
웹사이트
Orson Welles' World, and We're Just Living in It: A Conversation with Norman Lloyd
http://eatdrinkfilms[...]
2015-11-05
[28]
서적
This is Orson Welles
HarperCollins Publishers
[29]
뉴스
News of the Stage; 'Julius Caesar' Closes Tonight
https://query.nytime[...]
2015-11-05
[30]
서적
Orson Welles: The Road to Xanadu
https://archive.org/[...]
Viking
[31]
웹사이트
A Big-Name Brutus in a Caldron of Chaosa
http://theater.nytim[...]
2010-11-07
[32]
서적
Grove's Dictionary of Music and Musicians
[33]
웹사이트
Rinse the Blood Off My Toga
http://www.canadians[...]
Canadian Adaptations of Shakespeare Project at the University of Guelph
2010-03-13
[34]
뉴스
1984-03-14
[35]
웹사이트
Dead Caesar
https://www.smh.com.[...]
2007-01-30
[36]
서적
Caesar in the USA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2012
[37]
서적
Shakespeare and the Moving Image: The Plays on Film and Televisio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4
[38]
서적
Historical Dictionary of British Theatre: Early Period
Scarecrow Press
2013
[39]
서적
The British 'B' Film
Palgrave Macmillan/British Film Institute
2009
[40]
웹사이트
Julius Caesar on Screen
http://www.screenonl[...]
British Film Institute
[41]
웹사이트
Heil Caesar, Part 1: The Conspirators
http://bufvc.ac.uk/s[...]
British Universities Film & Video Council
[42]
웹사이트
Julius Caesar (2010) - IMDb
https://www.imdb.com[...]
[43]
뉴스
Caesar Must Die – review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3-03-03
[44]
웹사이트
Julius Caesar (Royal Shakespeare Company)
https://www.films.co[...]
Infobase
2023-11-24
[45]
뉴스
My film Zulfiqar is a tribute to The Godfather, says Srijit Mukherji
http://www.hindustan[...]
Hindustan Times
2016-09-20
[46]
뉴스
When 'Julius Caesar' was given a Trumpian makeover, people lost it. But is it any good
https://www.washingt[...]
Washington Post
2017-06-16
[47]
뉴스
Trump-like 'Julius Caesar' isn't the first time the play has killed a contemporary politician
https://money.cnn.co[...]
CNN
2017-06-12
[48]
서적
Latinx Shakespeares: Staging US Intracultural Theater
https://press.umich.[...]
University of Michigan Press
2023
[49]
웹사이트
Tragedies - Julius Caesar
https://www.latinxsh[...]
2023-08-13
[50]
뉴스
Delta and Bank of America boycott 'Julius Caesar' play starring Trump-like characte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6-12
[51]
뉴스
Central Park play depicting Julius Caesar as Donald Trump causes theatre sponsors to withdraw
https://www.telegrap[...]
The Telegraph
2017-06-12
[52]
뉴스
Delta, BofA Drop Support For 'Julius Caesar' That Looks Too Much Like Trump
https://www.npr.org/[...]
NPR
2017-06-12
[53]
뉴스
Trump as Julius Caesar: anger over play misses Shakespeare's point, says scholar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6-12
[54]
뉴스
Shakespearean actors across the US are receiving death threats over New York's Trump-as-Caesar play
https://www.rawstory[...]
The Raw Story
2017-06-17
[55]
뉴스
'Trump death' in Julius Caesar prompts threats to wrong theatres
https://www.bbc.com/[...]
CNN
2017-06-19
[56]
뉴스
'This is violence against Donald Trump': rightwingers interrupt Julius Caesar play
https://www.theguard[...]
The Guardian
2017-06-17
[57]
뉴스
Cops investigate death threats made against "Caesar" director's wife
http://www.salon.com[...]
Salon
2017-06-22
[58]
뉴스
Sandy Rios Sees No Difference Between Shakespeare And Feeding Christians to the Lions
http://www.rightwing[...]
Right Wing Watch
2017-06-20
[59]
웹사이트
Julius Caesar: Full Play - Julius Caesar
https://www.ntathome[...]
2024-04-29
[60]
서적
十二夜
日本放送出版協会
1981-11
관련 사건 타임라인
( 최근 20개의 뉴스만 표기 됩니다. )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